본문 바로가기
전공공부

Cerebral Palsy spastic type(경직성 뇌성마비)

by 발품정보꾼 2023. 4. 3.

뇌성마비(Cerebral palsy)

1. 정의

출생 전, 후에 뇌손상으로 인한 비진행성 운동장애로 근긴장도 및 자세조절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아동기 뇌병변

장애

2. 원인

1. 출산 전 요인

1) 무산소증 : 탯줄의 이상

2) 모체감염 : 톡소플라스마증, 풍진, 거대 세포 바이러스 감염

3) 산모의 내과적 질환 : 당뇨, 갑상선 기능항진증. 심장병, 심한 천식

4) Rh과민반응(Rh 부적합증) : 산모의 혈액은 음성이고 태아는 양성인 경우로 산모와 태아

혈액형 부조화로 태아 적혈구가 산모의 혈관으로 침투 후

산모가 항체 생성 태반을 통해 항체가 태아에게 들어가

적혈구 면역 기전 파괴

5) 임신 중 음주 및 흡연 : 저체중 출생아 분만율 증가, 조산 가능성 증가

2. 출산 시 요인

1) 허혈성 저산소증

2) 기도 폐색 : 선천적, 후천적으로 기도 막힘

3) 조산 : 태내 기간 37주 이내, 뇌실 내출혈

두개 내 출혈을 일으켜 뇌실 주변에 백질 연화증 유발 정상 뇌세포 파괴

뇌실주변백색연화증? 뇌의 혈류 감소로 인한 산소결핍으로 뇌실 주변의 백질부분의 뇌백질이 괴사

4) 뇌출혈 : 뇌혈관 파괴로 뇌조직 손상

5) 전치태반 : 태아, 태반의 위치가 바뀌어 태반이 먼저 나와 태아 출산을 막는 상태

6) 둔위분만 : 출산 시 머리보다 다리가 먼저 나오면 무산소증을 발생시켜 뇌손상 유발

7) 겸자분만 : 겸자로 아기의 눈, , 어깨에 손상을 주어 두개골 골절을 유발하면 뇌손상을 동반 할 수 있음

3. 출산 후 요인

1) 두개외상 : 낙상, 타격에 의한 머리 손상

2) 감염 : 뇌막염, 뇌염

3) 뇌혈관 색전 및 출혈 : 뇌혈관 막히거나 터짐

4) 사고로 인한 무산소증 : 질식

5) 수두증 : 뇌척수액의 증가로 뇌압 상승, 머리 크기가 커지는 현상, 뇌조직의 손상 유발

 

3. 분류/특징

1. 근긴장도에 따른 분류

1) spastic type(경직성 뇌성마비)

경직은 생후 4개월부터 현저히 나타남, 뇌성마비 중 약 80% 차지

주요원인 - 뇌실 주변의 백색연화증(PVL)과 주변의 뇌조직 괴사

*특징

- 높은 근긴장도로 수동 움직임 시 심한 저항 동반

- 상지는 굽힘근 긴장도 증가, 하지는 폄근 긴장도 증가

- 비정상적 근긴장도 증가는 반사기능 감소 초래와 자세조절의 방해요인

severe spastic(중증 경직형)

- 굽힘근, 폄근중증 경직 증가

- 수면, 휴식 시에도 근 긴장의 증가 지속

- 근위부가 원위부보다 근 긴장도 높음

- 사지마비 형태가 많음(일부는 하지마비로 나타나기도 함)

- 비정상적인 패턴 근골격계 변형, 아래팔 엎침 구축, 엉덩관절 아탈구 발생

- ATNR, STNR, 양성지지반응 등의 반응이 나타남

- 시각 손상, 경기 등을 동반하고 수동적이거나 의존적인 성향이 강함

moderate spastic(중증도 경직형)

- 중증도의 근긴장도 증가 동반, 휴식 시 정상적 근긴장도 유지, 흥분하거나, 지나친 노력, 움직임 등의

요인에 의해 근긴장도 증가

- 원위부 근긴장도이 근위부 근긴장도보다 높음

- 불균형한 근긴장도로 척추뒤굽음증, 척추전만증 등의 기형 동반

- 서거나 보행이 가능하나, 비정상적 패턴 및 자세 동반

- 모로반사, TLR 등 비정상적 반사와 정위반응은 존재할 수 있으나 균형반응은 감소

mild spastic(경도 경직형)

- 휴식 시 거의 정상 근긴장도 유지, 빠른 움직임 시 경도의 근긴장이 나타남

- 하지마비, 편마비 아동 해당

- ROM은 원위부가 보다 제한적, 경한 변형을 동반

- 보행과 다양한 움직임 가능

- 원시반사를 동반하나 경미하고 기능적 사용이 가능

- 지적장애, 지각장애 정도 낮음

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