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32

한국어 어문규범 Ⅰ. 서론 우리나라에서 ‘표준어’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1933년 에서부터이다. 통일안의 총론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. 첫째, 한글 맞춤법(철자법)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,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. 둘째,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. 셋째,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되, 토는 그 웃 말에 붙여 쓴다. 이를 요약하자면 맞춤법은 표준어를 대상으로 하며, 표준어는 서울의 중류 계층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이라는 것이다. 이와 함께 학교에서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되기 시작하였는데, 이 때 교과서에 실려있는 내용은 어느 정도 표준어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. 맞춤법 통일안 작성에 참여했던 국어학자 이희승은 표준어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. “맞춤.. 2023. 4. 5.
감각통합을 기반으로 한 가정프로그램 활동지(예시) 1. 고유감각 활동 □ 손수레 걷기 활동하며 3m 거리 왕복 완주하기 □ 팔, 다리 쭉쭉 펴고, 보호자와 앉았다 일어나며 스트레칭 하기(좋아하는 동요나 노래 들으며 스트레칭) □ 식사하지 않더라고 물(음료)마실 때는 빨대로 먹을 수 있게 제공해주기 □ 가능한 씹을 수 있은 간식(말린고구마 등) 주기 단, 간식을 좋아하지 않을 경우 치발기나 아동이 구강 탐색할 수 있는 놀잇감을 제공해주기 □ 관절압박 10회 : 각 관절을 손으로 잡고 각 손바닥이 마주 보는 방향으로 10회 압박 한다.(예외 ; 가슴은 3회 압박함 ) 어깨-팔꿈치, 팔꿈치-손목, 손목-손가락, 엉덩이-무릎, 무릎-발목, 발목-발가락, 척추(어깨-엉덩이), 가슴 □ 몸을 손으로 꼭꼭 눌러주기 5회 :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양팔과 다리를 대칭으.. 2023. 4. 5.
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(ADHD) 및 학습장애(Learning disabilities)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(ADHD) 1. 증상 및 특성 1)주의산만한 행동 - 놀이나 과제를 할 때 집중을 유지하기 어렵고, 말을 듣지 않는 것처럼 보임 - 과제를 회피하거나 싫어하고 참여하지 않으려 하고, 자신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림 - 사소한 소음이나 사건에 주의를 기울여 진행중인 과제를 자주 중단하게 됨 2)과잉행동과 충동적인 행동 - 앉아 있을 때 손이나 발을 쉬지 않고 움직임 -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자주 자리에서 일어나며 뛰거나 책상위에 올라가는 행동 보임 - 놀이를 조용하게 진행할 수 없으며 식당이나 모임에서 과도하게 행동 - 지나치게 말이 많고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대답을 함 -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지 못하고 다른사람의 대화나 활동에 끼어들거나 방해 학습장애(Learning dis.. 2023. 4. 4.
전반적 발달 장애(PDD: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) 1. 정의 및 분류 체계 : 발달의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한 장애 (Behavior, Social interaction, Communication, Sensory Dysfunction) ① DSM-IV - 전반적 발달장애의 다섯 가지 하위 유형은 자폐성장애, 아스퍼거 장애, 레트 장애, 아동기 붕괴성 장애, 비전형 전반적 발달장애를 포함 ② DSM-Ⅴ - 자폐증, 아스퍼거 증후군, 비전형적 자폐증이라고 개별 분류하지 않고 ASD(Autistic Spectrum Disorder)라는 하나의 진단명으로 통합 2. 종류 1) 자폐증(Autism) (1) 정의 - 3세 이전에 사회적 상호작용, 의사소통 영역에 문제를 보이는 전반적 발달장애 (2) 특징 ① 사회성 - 다른사람과 눈 맞춤 하지 않거나 피한다. - 상.. 2023. 4. 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