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. 뇌성마비 평가
1) GMFM(Gross Motor Function Measure)
(1) 목적 : 발달 수준 변화에 따라 뇌성마비, 다운증후군, 정형외과적 질환을 통해 운동기능
발달 정도를 평가하여 치료 목표 설정
(2) 구성
- Lying and rolling(17항목)
- Sitting(20항목)
- Crawling and kneeling(14항목)
- Standing(13항목)
- Walking, running and jumping(24항목)
(3) 평가방법
- 45~60분 소요
- 매트가 깔린 조용한 방엣 아동의 대근육 운동 기능을 직접 관찰하여 평가
- 각 항목을 4점 척도로 평가(0~3점)
(5) 결과 해석
- 각 영역의 점수를 백분위롤 환산하여 평균 점수를 구하고, 그 점수가 높을수록 대근육
운동 기능이 우수함
- 치료 목표가 될 수 있는 목표점수를 치료자가 변화가 예상되는 영역을 지정하고 치료
목표로 사용함
2) GMPM(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)
(1) 목적 : 대근육 운동의 자세정렬, 협응, 분리동작, 안정성, 체중 이동 등 움직임 질적인
부분 평가
(2) 구성 : GMFM의 항목과 연계
- Alignment : 몸의 각 부분들 간의 조절과 배열
- Coordination : 운동 수행에서 움직임이 원활하고 조절된 사용
(timing, velocity, direction, force, amplitude 평가)
- Dissociated movement : 분리된 움직임, 한 부분의 움직임이 다른 부분과 독립되어
나타나는 정도
- Stability : 불안정한 상황에서 신체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유지하는 능력
- Weight shift : 무게 중심이동을 동반하는 움직임으로 그 양과 반향을 평가함
(앞, 뒤, 측면, 수직)
(3) 평가방법
- 45~60분 소요
- 매트가 깔린 조용한 방에서 아동의 대근육 운동 기능을 직접 관찰에 의해 평가
- 각 항목을 5점 척도로 평가(1~5점)
(4) 결과 해석
- 각 영역에서 백분위로 환산하여 평균점수를 구하고, 점수가 높을수록 대근육 운동
기능의 질이 우수함
6. 치료적 접근
1. 신경발달치료(NDT : Neurodevelopmental Treatment)
- 과거에는 신경계 손상환자를 위해 정상적인 자세조절 향상, 비정상적인 근긴장 및 반사의
감소가 목표였음
- 신경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의 발달수준을 고려해 부족한 요소를 파악해야함
- 치료적 핸들링을 통해 자세조절 능력을 향상시킴
- 기형과 기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운동 패턴 억제
- 치료자는 작업 참여에 필요한 동작을 순서적으로 반복적으로 연습시켜 과제 학습으로
연결시켜야 함
- 치료사는 움직임의 질을 강조하여 아동의 움직임이 기능적으로 향상되도록 초점을 둠
2. 강제유도운동치료(CIMT : Constraint - induced Movement Therapy)
- 정상측 사용을 제한하고 강제로 환측 사용을 유도하는 행도치료 방법 중 하나
- 편마비 아동에게 효과가 좋음
- 학습된 미사용으로 인해 기능적 회복이 저하되었을 때 사용
- 약 2~4주의 치료기간이 소요, 건측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스플린트, 장갑, 슬링 등을 사용
- 하루 일과 중 목욕, 식사, 수면 등을 제외한 시간의 약 90% 움직임 제한 보조도구 착용
- 환측은 하루 4~6시간의 ADL과제 및 소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실시
- 장점은 치료실 외에 ADL에 환측 사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신경생리학적 변화와 기능
향상을 단기간에 가능케 하고, 학습된 미사용 증후군을 예방함
- 단점은 6~7시간의 과도한 치료 스케줄이 힘들고, 정상측 사용 제한은 일시적으로 생활이
불편하고, 낙상 위험, 심리적 부담 등이 증가함
'전공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반적 발달 장애(PDD: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) (0) | 2023.04.04 |
---|---|
지적장애(Intellectual disability : ID) (0) | 2023.04.04 |
마비 부위 및 정도에 따른 분류(CP) / 동반증상 (1) | 2023.04.03 |
Cerebral Palsy Athetoid type(무정위형 뇌성마비) / 실조형, 이완형 (0) | 2023.04.03 |
Cerebral Palsy spastic type(경직성 뇌성마비) (0) | 2023.04.03 |
댓글